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야
- C언어
- character
- JavaScript
- iclone
- cc4
- autodesk
- js
- 프로그래밍
- animating
- visualstudio
- modeling
- 오블완
- 3dmodeling
- 3d
- c++
- 티스토리챌린지
- reallusion
- 애니메이팅
- charactercreator
- 언리얼엔진
- 개발
- Costume
- HTML
- C
- ue5
- unreal
- ANIMATION
- 개발블로그
- UnrealEngine
- Today
- Total
개발나라 스용공주

오늘 알아볼 형태는 열거형이다. 열거형은 숫자로 일일히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상태의 값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열거형으로 분리하여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상태의 이름을 문자로서 표현(지정)해주는 것이다. 열거형의 장점은 형식 자체는 정수와 크게 다른 점은 없지만 우리가 일일히 코딩해주지 않고도 원하는 숫자에 그에 맞는 이름을 붙여서 사용해주는 것이 유용하다. 열거형은 아래 사진과 같이 만들 수 있다. 만든 열거형에 들어가서 Idle, Moving, Attack 등의 상태를 만들어줄 것이다. 그럼 이제 이 3가지 상태는 EState 안의 하나의 타입으로 분류 된다. 열거형을 만들어준 뒤 저장 후 블루프린트로 돌아와서 해당 열거형을 담을 변수를 만들어주고 변수 유형을 방금 생성한 열거형인 EState로 설..

1. Gate 흐름을 제어해주는 역할로 댐이 물을 담아뒀다가 필요에 의해 수문을 여는 것과 비슷하게 볼 수 있다. Start Closed가 체크되어져있으므로 그냥 Enter를 누르면 Exit에 있는 노드가 실행되지 않고 Open으로 한번 열어준 뒤 Enter를 누르면 실행된다. 그리고 Close를 누르고 다시 Enter를 눌러주면 Exit 이후가 실행되지 않고 Toggle의 경우 한번은 Open이고 한번은 Close고 이 두개를 반복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Open의 순번일 때 Exit 이후의 노드가 실행되고 Close의 순번일 땐 Exit가 실행되지 않으므로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는다. 실행의 흐름을 통과시키다 막아야될 때 사용 가능하다. 2. Multi Gate 위에 한개의 수문으로 이루어진 댐 같은 Ga..

C++에서는 for문, while문 등의 반복문이 있다. 마찬가지로 언리얼 블루프린트에서도 반복문의 기능을 하는 것들이 있는데 이번 글에서 설명할 것이다. 1. While loop While loop는 Condition 핀에 만족해야할 조건의 노드를 연결하고 Loop Body에 반복 실행할 식의 노드를 연결해주고 반복문이 끝난 뒤 실행할 노드를 Completed에 연결해준다. 2. For loop For loop는 일반 For문처럼 초기값 중단값을 넣어준다. First Index에 반복문을 시작할 숫자를 넣어주고 Last Index에 반복문이 끝나는 숫자를 넣어준다. 그리고 Loop Body에 While Loop처럼 반복하여 실행할 식을 작성해주고 Index는 나온 인덱스 값을 의미하고 Complete는..

1. Max Max는 핀을 통해 연결되어져있는 값 중 가장 큰 값을 배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은 주로 아래 사진과 같이 체력(Hp)가 키보드 1을 누르면 10씩 깎이는데 체력이 0 이하로는 깎일 필요가 없을 때 아래와 같이 현재 체력과 0이라는 숫자를 비교했을 때 0이 더 커서 0을 배출해야할 때 활용 가능하다. 2. Min Min는 핀을 통해 연결되어져있는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배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은 주로 아래 사진과 같이 체력(Hp)가 키보드 1을 누르면 10씩 더해지는데 체력이 200 이상으로는 추가될 필요가 없을 때 아래와 같이 현재 체력과 200이라는 숫자를 비교했을 때 200이 더 작아서 200을 배출해야할 때 활용 가능하다. 3. Clamp Clamp는 크기가 판단될 값..

이번 시간엔 논리연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C++에 있는 논리연산자와 동일하게 생각하면 받아들이기 쉽다. 1. AND AND는 A와 B 모두 맞아야 True이고 하나라도 틀리면 False이다. C++의 &&와 같은 의미이고 비교 조건의 상황을 추가할 수 있는 핀 추가가 가능하다. 2. OR OR는 A나 B 둘중에 하나만 맞아도 True이고 둘다 틀려야지만 False인 상황이다. C++의 ||와 같은 의미이고 비교 조건의 상황을 추가할 수 있는 핀 추가가 가능하다. 3. NOT NOT은 입력값이 참이면 거짓을 뱉어내고 입력값이 거짓이면 참을 뱉어낸다.

이번 시간에는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문을 만드는 법을 알아볼 것이다. 1. Branch Branch는 C++에서 if문과 같은 의미이다. 아래 사진과 같이 연결된 조건이 True로 판별되면 True 노드와 연결되어져있는 블루프린트가 실행되고 아니라면 False에 연결된 노드가 실행된다. 2. Sequence (시퀀스) 시퀀스는 아래 사진과 같이 블루프린트 노드를 만들어 연결하면 Then 0에 연결된게 먼저 실행되고 Then 0이 모두 실행되어 끝나면 Then 1이 실행된다. 그리고 핀 추가 + 를 누르면 Then 2, Then 3 등 핀이 계속 늘어나는 형태이다. 코드를 정리하는 느낌으로 활용가능하다. 아래 사진과 같이 노드를 짜게 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다. 결과는 시퀀스 Then 0에 연결된..

우리가 만약 게임에서 상점의 물건을 1개씩 사갈 때 현재 상점에 남아있는 물건 재고수를 확인시켜주는 글씨를 출력한다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이때 물건의 재고 수는 변수인데 Print Text로 출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포맷 텍스트 (Format Text)를 사용해주면 된다. 더보기 포맷 텍스트(Format Text) : 위의 사진처럼 Apple Inventory {store}를 작성하고 enter를 눌러주면 {}안에 적혀있는 store가 핀으로 생기는데 여기에 내가 지금 출력하고 싶은 변수값을 연결시켜주면 {store} 대신 해당 변수값이 저장된다. => 나처럼 store가 아니여도 본인이 원하는 사용하고자 하는 이름을 써줘도 된다.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Apple이라는 int형 변수의 값이 1씩 빠진..

1. 사칙연산 우리가 게임을 할 때 캐릭터가 체력(HP)을 잃는 경우와 더 추가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먼저 HP라는 체력을 담는 변수에 +와 -를 이용해줄 수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이 Hp변수를 만들어주고 체력을 10씩 더하고 싶을 때 +를 사용하여 더해줄 수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2. 변수로 승격 이란? 아래 사진과 같이 체력(HP)에 일정 값을 담은 변수를 곱해주고싶다면 새 변수를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아래 사진과 같이 비어있는 핀을 드래그하여 변수로 승격을 누른 뒤 이름을 설정해주면 따로 데이터형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으로 편리하게 변수를 만들 수 있다. 3. 비교연산 비교연산자는 변수들의 크기를 비교해준다. 이를 이용하여 체력(HP)가 0 또는 0 이하가 되면 죽었다는 것을 알려..